달력

72025  이전 다음

  • 1
  • 2
  • 3
  • 4
  • 5
  • 6
  • 7
  • 8
  • 9
  • 10
  • 11
  • 12
  • 13
  • 14
  • 15
  • 16
  • 17
  • 18
  • 19
  • 20
  • 21
  • 22
  • 23
  • 24
  • 25
  • 26
  • 27
  • 28
  • 29
  • 30
  • 31

IBus로 Hangul을 설치 하면 처음에는 한영변환 단축키가 'ctrl+space'로 설정되어 있다.

평소 Windows에서는 한영변환 단축키를 'Shift+space'로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단축키가 다르니 불편했다.

우분투에서도 windows와 마찬가지로 한영변환 단축키를 설정하려니 아래아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왔다.



[system setting -> keyboard 선택]


한마디로 "Shift + Space"는이 키를 사용하여 입력 할 수 없기 때문에 Ctrl, Alt 또는 Shift와 같은 키를 동시에 눌러보라는 이야기다.


이 경우 [system setting ->Text Entry ] 를 선택하여 한영변환 단축키를 변경하니 문제가 해결 됐다. 




'karma( 업 )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oo many file open해결을 위한 명령어  (0) 2019.04.14
valgrind 사용 및 Error Message 읽기  (0) 2019.04.01
strace의 마술  (0) 2017.06.22
Shell Script 참고  (0) 2017.05.26
버추얼 박스에 우분투를 설치하자.  (0) 2017.05.26
Posted by 생짜
|
Posted by 생짜
|

'karma( 업 )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oo many file open해결을 위한 명령어  (0) 2019.04.14
valgrind 사용 및 Error Message 읽기  (0) 2019.04.01
strace의 마술  (0) 2017.06.22
한영 변환 단축키 설정  (0) 2017.05.29
버추얼 박스에 우분투를 설치하자.  (0) 2017.05.26
Posted by 생짜
|

집에서는 OS X 를 사용하고 회사에서는 가상머신에 설치된 우분투에서 작업을 한다. 윈도우는 그저 뱅킹용? 아니 요즘은 뱅킹도 스마트폰에서 하니 인터넷 쇼핑용이 더 맞을지도 모른다.

회사에서 우분투를 이용하여 작업하다 보니 리눅스가 점점더 마음에 들기 시작했다. 결국 집에 있는 2007년  mid의 맥북에서 가상머신을 사용하여 우분투를 설치하기로 했다. 

구굴 '맥 버추얼박스 우분투' 검색 결과

10년도 더 된 맥북이라 최신 OS X가 올라가지 않는다. 결국 버추얼박스를 가상머신으로 사용하기로 했다. 

'karma( 업 )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oo many file open해결을 위한 명령어  (0) 2019.04.14
valgrind 사용 및 Error Message 읽기  (0) 2019.04.01
strace의 마술  (0) 2017.06.22
한영 변환 단축키 설정  (0) 2017.05.29
Shell Script 참고  (0) 2017.05.26
Posted by 생짜
|

what is JSON?

karma( 업 ) 2017. 5. 23. 16:49

이번  프로젝트에서는  JSON 이라는 것을 사용하게 되었다.

오~~~ JSON과 Node.js는 공부해야지 하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딱 때마침 서버에서 JSON 포맷을 사용한다고 한다. 이게 웬떡이냐 ㅎㅎㅎ

가장 좋은 것은 사용할 것과 공부할 것이 일치하는 것일 것이다. 마침 두 개가 서로 상통하여 이번 기회에 JSON을 정리했는데....엥...뭐야 이게 다야? 깜놀했다. 

이제 써보는 길만 남았다. ㅎㅎㅎ

JSON.pptx


다음은 Node.js 다.


'karma( 업 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ITLab 사용 설명서  (0) 2017.06.19
개발자의 평생 공부  (0) 2017.06.19
주석처리  (0) 2017.03.06
language, platform( or SDK ), domain  (0) 2017.02.20
git stash  (0) 2017.02.17
Posted by 생짜
|

최소한 부등식과 방정식은 잘해야지....

Posted by 생짜
|
Posted by 생짜
|
Posted by 생짜
|

QML에서 Image file을 loag할 경우 Image 객체의 property source에 파일 경로를 적어 주면 된다.

Image {

 source: "file:///home/ryuhs74/work/testimage/image.png"

}

중요 포인트는 'file:///' 이다. 이미지 파일의 절대경로를 기술해주면 된다.


QT에서 QImage 클래스의 load 함수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load 할 때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QML과 똑같이 사용하니 load함수에서 false이 리턴됐다.  QT에서는 그냥 파일경로를 적어주면 되는 것이었다.

void CImage::paint(QPainter *painter)

{

    QImage image;

    if( true == image.load("/home/ryuhs74/work/testimage/image.png", "PNG") )

    {

#if 0 //QPixmap 클래스를 사용하는 방법

        QRectF target(0.0, 0.0, 640.0, 700.0);

        QRectF source(0.0, 0.0, 640.0, 700.0);

        QPixmap pixmap("/home/telecons/work/SYMC_C300/testimage/map_bg.png");

        painter->drawPixmap(target,pixmap,source);

#else

        painter->drawImage(200,200, image);

#endif

    }

    else

    {

        QPen pen(m_color, 2);

        painter->setPen(pen);

        painter->setRenderHints(QPainter::Antialiasing, true);

        painter->drawPie(boundingRect().adjusted(1, 1, -1, -1), 90 * 16, 290 * 16);

    }



Posted by 생짜
|

make 컴파일시 'Clock skew detected'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.

보통 VMWARE를 사용할 때 자주발생하는 오류로 시스템 시간과 컴파일하고자 하는 소스파일의 시간이 맞지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.

다시 말해 시스템 시간보다 소스파일의 시간이 더 앞일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.

시스템 시간과 소스파일의 시간을 동기화 하면 해결 할 수 있다.


'karma( 업 ) > QT&QML Erro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QString::toStdString() 오류  (412) 2018.06.20
VMPlayer에서 QT Creator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Error  (0) 2017.05.08
staticMetaObject error  (0) 2017.05.04
qmlRegisterType 등록 error  (0) 2017.05.02
Posted by 생짜
|